외부감사 대상 기준, 원소주가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이유

외부감사 대상 기준, 원소주가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이유

외부감사 대상 기준, 원소주가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이유

 

최근 가수 겸 사업가 박재범이 이끄는 원스피리츠(원소주 제조사)가 2024년도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작년 한 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다는 발표 이후 나온 결정이라 많은 이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는데요.

원스피리츠 측은 비상장사의 외부 감사 기준에 해당하지 않아 감사보고서 제출을 진행하지 않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외부 회계 감사를 받아야 하는 걸까요?

 

1. 외부감사 대상 기준

외부감사 대상 기준, 원소주가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이유

우리나라에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부감사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의무적으로 외부 회계법인으로부터 재무제표 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회계 정보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이며, 비상장 주식회사의 경우 직전 사업연도 말의 자산, 부채, 매출액, 종업원 수 등을 기준으로 외부감사 대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4가지 기준 중 2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외부감사 대상이 됩니다.

✔️ 자산총액 120억 원 이상

✔️ 부채총액 70억 원 이상

✔️ 매출액 100억 원 이상

✔️ 종업원 수 100명 이상 (단,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은 종업원 수 기준 제외)

 

2. 원소주 감사보고서 제출하지 않는 이유

외부감사 대상 기준, 원소주가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이유

원스피리츠의 2023년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자산 총계는 104억 원, 매출액은 132억 원이었습니다.

부채나 종업원 수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2023년 실적만 보면 매출액 100억 원 이상 기준 하나만 충족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2024년도 예상 실적이나 자산, 부채 규모가 줄어들어 위 4가지 기준 중 2가지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면, 법적으로 외부감사를 받을 의무가 사라지게 됩니다.

원스피리츠의 감사보고서 미제출 결정은 이러한 법적 기준 변경에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외부감사 대상, 결론

외부감사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객관적으로 검증받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투자자나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들은 감사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신뢰도를 판단하죠.

따라서 외부감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것은 기업 규모가 일정 수준 이하로 변경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경영 전략이나 시장 상황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원소주의 사례처럼 기업의 외부감사 여부는 해당 기업의 현재 상황을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투자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2023년 원소주 감사보고서 확인하기

 

 

 

Leave a Comment